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서천군 복지포털
01.초종 → 02.복 → 03.입상주 → 04.역복불식 → 05.치관 → 06.부고 → 07.목욕 → 08.습 → 09.전 → 10.위위곡 → 11.함 → 12.영좌 → 13.명정
초종의 종(終)은 별세하는 순간, 운명하는 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임종(臨終), 종신(終身)등과 같으 며, 운명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시신의 영혼을 부르는 의식으로서 육체를 떠나는 영혼을 부르는 행위이다.
상(喪)의 주인을 세우는 것으로 여기서 주인이라 함은 장자를 이르는 것이며 장자가 없으면 장손 이 승중(承重:아버지나 할아버지를 잃은 사람이 할아버지 또는 증조할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일체의 의무와 책임을 이행하는 것 또는 그 사람을 의미)해서 모든 예를 받드는 것을 말한다.
초종의 육신단절, 복의 영혼단절을 통해 완전한 죽음을 확인한 후 행하는 죽은 자에 대한 예우 로 옷을 벗고 음식을 먹지 않는 것.
호상이 목공을 시켜 나무를 가려서 관을 만들게 하는 것으로, 생전에 미리 만들어 놓기도 하였다.
호상과 사서(司書)가 상가(喪家)를 위해 친척과 동료에게 서신을 발송하는 것.
시신을 목욕시키는 것을 말한다.
시신에게 옷을 입히는 것으로, 의복을 겹쳐서 입힌다.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설(陳設)하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초(촉:燭)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습전(襲奠)이라고도 한다.
주인 이하 모두 위(位:자리)를 정하고 위(位)에 나아가 부복(俯伏)하고 곡하는 것이다.
새로 길을 물로 씻은 입쌀과 진주(眞珠)를 장만하며, 베게를 치우고 방건을 들치고서 입안 오른쪽에 숟 가락으로 쌀을 떠서 채우고 구슬 한 개를 채우며, 왼쪽과 가운데에도 이와 같이 한다. 함이 끝나면 베개를 도로 괴고 방건을 걷고 수관을 씌우고 충이를 하고 명목을 덮어 싸매고 리를 신긴 뒤 상복을 입히고 대대를 매고 악수를 싸매고서 이불을 덮는다.
시신의 자리를 뜻하는것으로 육체를 대신하여 유의(遺衣:살았을 때 입던 옷 또는 복을 한 옷을 쓰기 도 한다), 영혼을 대신하여 혼백을 놓아 사자를 대신하고 있다.
죽은 사람의 직위와 이름을 쓴 기(杞)를 명정이라고 하며, 붉은 비단으로 폭(幅)있는데로, 길이는 왕 은9척, 8척(5품이하는 7척)으로 하고, 왕은 "대행왕재궁(大行王梓宮)", 벼슬이 있는 사람은 "모관 모공지구 (某官某公之柩:아무 벼슬 아무 공의 구), 벼슬이 없으면 "수생시소칭(隋生時所稱:생시의 이름을 따른다)"이 라 쓴다. 대나무로 깃대를 만드는데 명정의 길이와 같게 하며 [부(趺:명정을 바치는 대(臺)]가 있고 영좌의 오른편에 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