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의 다양한 명소를 소개합니다
건지산성은 금강 하류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 부흥운동군의 거점이었던 주류성(周留城)으로 추정되고 있는 백제 말에 나타난 새로운 형식의 산성 건지산의 정상부근을 에워싼 말안장 모양의 내성과 그 서북쪽 경사면을 둘러싼 외성의 2중구조로 되어있는 산성이다. 성을 쌓은 시기는 백제 말에서 통일신라 전기로 보고 있다. 비교적 큰 규모의 산성으로, 내성은 흙으로 쌓았고 외성은 돌과 흙을 함께 사용하여 쌓았다. 이러한 2중구조의 산성은 특히 백제 말에 나타난 새로운 산성의 형식으로 알려져있다. 산성의 북쪽은 험준한 천연의 암벽을 이용하여 성벽을 삼았고, 나머지 부분은 흙으로 쌓았으나 심하게 붕괴된 상태이다. 문터의 흔적은 동문지와 서문지가 있으며, 성안에 봉서사라는 절이 있다. 봉서사 서쪽에 건물터로 보이는 계단 모양의 평지에서 불탄쌀과 백제의 토기조각이 출토되었다. 산성에서의 전망이 매우 좋아서 한산읍성과 함께 금강 하류의 수륙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부흥군의 거점이었던 주류성이 곧 이 산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안에는 동문지로 추정되는 곳이 남아 있는데, 지금도 한산(韓山)에서 산성에 이르는 도로는 이 문터쪽을 거치게 된다. 또한 서쪽에도 문지가 확인되었는데, 이 문지에 이르러 앞뒤로 서로 방향이 어긋나게 벌어지면서 개방되었다. 이것은 마치 후대의 성곽에서 볼 수 있는 옹성(甕城)과 같이, 방어를 목적으로 미리 설계된 축성상의 구조로 추정되며, 성벽의 너비는 약 4m이다. 또한 산성의 남서쪽 낮은 봉우리에는 영모리 산성이 있다. 이는 건지산성에 딸린 부속성으로 방어를 위한 보루로 볼 수 있다. 이 구조 역시 백제식 산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하여 건지산성이 삼국시대에 쌓은 성이 아닌 고려시대 산성일지도 모른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반해 영모리 산성은 건지산성과는 시기가 다른 백제시기의 산성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발굴 조사에 의하면 건지산성은 고려말기에 금강하구에 출몰하던 왜구(倭寇)를 막기 위하여 고려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여겨지며, 조선왕조가 읍성을 축조하기 이전에 산성을 읍성 대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 조선 중종 때 한산읍성(邑城)이 축조되자 산성은 읍성 후방의 농성을 위한 산성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