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조선시대 초기에는 비인현(庇仁縣)의 지역으로서 조선시대 말기에는 비인군이 되었던 바로 군청소재지라 군내면(郡內面)이라 불렀다.

비인은 백제 때에는 비중현(比衆縣) 또는 비상현(比象縣)이라 불렀으며 그후에는 검성(劍城)이라고 부를 때도 있었다.

이 지역의 처음 고을은 종천면 지석리(鍾川面 支石里)이고 신라 때에 이곳에 옮겨왔다. 옛날부터 명문이 낙향하여 자리를 정한다 해서 비인(庇仁)이라 불러오던 곳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비인면이 되어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면내에 거주하는 성씨의 대성은 밀양박씨(密陽朴氏) 110여세대를 비롯하여 평산신씨(平山申氏) 100여호 강릉유씨(江陵劉氏)90여호 기계유씨(기溪兪氏) 60여호 능성구씨(陵城具氏) 40여호 창녕조씨(昌寧曺氏) 40여호가 대성을 이루며 거주한다.

관리 (冠里)

비인군 일방면(一方面)의 지역으로서 옥관(玉冠)을 닮은 지형이라 하여 관골 또는 관동(冠洞)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관리라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시설고개

새소고개라고도 부르던 마을이다. 옛날에 소 세 마리가 고개를 넘다가 죽었다 해서 세소고개라고 부르는 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변하여 새소고개, 시설고개라고도 부른다.

안앗골

완리(完里)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드나드는 사람이 드물었으며 유촌(儒村)으로 예의가 바른 마을이라 완리라고도 불렀다.

역적골

세상을 등진 사람들 즉 유생들이 정착하여 이룩한 마을이라 엣적골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역적골이라고 부른다.

관리 (冠里)

관동(冠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지형이 옥관을 씌운 것 같다 해서 관리 관동이라고 부른다.

구복리 (九福里)

비인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복이 많은 지역이라 해서 곰복 또는 구복(九福)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구복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집성촌이 있다.

종배 (宗排)

존비라고도 부른다.

남당리 (南塘里)

비인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남쪽을 향한 전원이 밝은 곳이라 하여 남당(南塘)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남당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기계유씨(杞溪兪氏)가 뿌리를 내리고 많이 살며 그 집성마을도 있다.

쇠재

우령(牛嶺)이라고도 부른다. 쇠재라고 부르는 고개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통박골

통박(通朴)이라고도 부른다. 앞으로 큰 마을이 된다 해서 그리 부르게 되었다 한다.

남당 (南塘)

남당이란 뜻 자체는 남쪽의 신선지라는 뜻과 통한다. 즉 이곳의 남당은 새로 개척하러 들어와서 스스로 이룩하는 새로운 명소를 만든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는 마을이다.

다사리 (多沙里)

비인군 일방면(一方面)의 지역으로서 모래가 많으므로 다시래 다사내 다시래 변하여 구수매라고 부르던 지역이라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다사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다사래

다사내 다시래 다사내 구스매라고도 부른다. 마을과 마을 부근에 모래가 많은 마을이다.

선도리 (船島里)

비인군 군내면의 지역으로서 배가 드나들었던 지역임으로 배들이 또는 선입 선임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선도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강릉유씨(江陵劉氏)가 많이 사는 지역으로 그 집성마을이 있으며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집성마을도 있다.

솔머리

송두(松頭) 선서(船西)라고도 부른다. 소나무가 무성하였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용수 (龍鬚)

왕마지(王馬池)라고도 부른다. 옛날 용이 살았다는 용못옆에 마을이 있으므로 용지 왕마지라고 부른다.

용지 (龍池)

한산군 북부면(北部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동자(童子)와 유산(由山)의 이름을 따서 동산리라 하였다.

성내리 (城內里)

비인군 군내면(郡內面)의 지역으로 읍성(邑城) 안쪽이 되므로 성안 또는 성내 읍내라고 불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성내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 되었다. 강릉유씨(江陵劉氏)와 창녕조씨(昌寧曺氏)가 많이 살며 그 집성마을도 있었다.

관청골

관청(觀淸)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비인현의 관청이 있었던 마을이다.

교촌 (校村)

역말 역촌(驛村)이라고도 부른다. 비인향교가 있었으며 조선시대 청화역(靑化驛)이란 역이 있었던 마을이다.

구장터

옛날에 비인장이 섰던 마을이다. 1952년 새장터로 옮겨갔다.

성북리 (城北里)

비인군 군내면(郡內面)의 지역으로서 비인읍성 북쪽이 되므로 성뒤 성디 또는 성북이라고 부르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성북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밀양박씨(密陽朴氏)가 많이 살며 그 집성마을도 있다.

가멀

하북(下北)이라고 부르는 마을 가에 마을이 있으므로 가멀이라고 부른다.

기럭재

안티(雁티)라고도 부른다. 기러기가 날아드는 기럭재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기럭재 안티라고 부른다.

수탠

수태안(水泰安) 화대(禾垈)라고도 부른다. 농사짓는 데 물걱정을 하지 않으며 벼가 잘 되는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탑성이

상북(上北) 상북리(上北里) 탑성(塔城)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오층탑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성산리 (城山里)

비인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성이 있는 산 지역이라 성산(城山)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성산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평산신씨(平山申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미럭불

마을에 미륵이 있었으므로 미럭불 미력리라고 부른다.

밧미럭불

미럭불마을 바깥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밧미럭불이라고 부른다.

서당이

서당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부터 서당이 있었던 마을이다.

평전(平田)

들판에 마을이 있으므로 평전이라고 부른다.

율리 (栗里)

비인군 북면(北面)의 지역으로서 큰 산아래 밤나무가 많은 지역이라 율리(栗里) 율동(栗洞)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평산신씨(平山申氏)의 집성마을도 있다.

둔데기

둔덕(屯德) 둔덕리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둔덕에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밤골

율리(栗里) 율동(栗洞)이라고도 부른다. 밤나무가 많았던 마을이다.

석척골

마을에 흐르는 냇물이 돌로 깔려있다 해서 그리 부른다.

장포리(長浦里)

비인군 일방면(一方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장진(長津)과 포성(浦城)의 이름을 따서 장포리라 하였다.

지리실

기로(耆老) 기로리 기로소라고도 부른다. 마을의 흙이 몹시도 질퍽거린다는 마을이다.

장진개

장진 장진리라고도 부른다. 해안을 길게 끼고 있는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장진개, 장진, 장진리라고 부른다.

산적말

산적이집이 있었으므로 산적말이라고 부른다.

포성대

포성(浦城) 포성리라고도 부른다. 산이 포구인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 해서 포성이라고 부르고 포성대라고도 부른다.

칠지리 (漆枝里)

비인군 군내면(郡內面)의 지역으로서 옻나무가 많으므로 칠지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칠지리라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뱀골 사동(巳洞)

사동리라고도 부른다. 큰 산아래에 마을이 있으며 마을 지형이 뱀을 닮았더 해서 뱀골 사동이라고 부른다.

사단 (社壇)

옛날 사직단이 있었던 마을이라 사단 사직단이라고 부른다.

칠지 (漆枝)

옻나무가 많으므로 칠지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장수뫼

옛날 어린장수가 태어났다는 묘가 있으므로 장수뫼라고 부른다.

담당부서 :
비인면
연락처 :
041-950-6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