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천방산(千房山)기슭아래 길산천(吉山川)과 도마천(渡馬川)이 흐르는 서천평야 기름진 땅의 이 지역은 풀이 많아 초리(새울)이라 불렀고 초리의 이름을 따서 초처면(草處面)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시왕면(時旺面)의 11개 동리와 문장리의 일부를 통합하고 시왕(時旺)과 초처(草處)의 이름을 따서 시초면(時草面)이라 하였다.

면내에 거주하는 대성(大姓)으로는 평해구씨(平海丘氏) 남포백씨(藍浦白氏) 안동장씨(安東張氏) 나주나씨(羅州羅氏)가 있으며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봉선리 (鳳仙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봉암(鳳岩)과 선돌(仙乭)의 이름을 따서 봉선리라 하였다. 남포백씨(藍浦白氏)가 집성마을을 이루고 있다.

봉암 (鳳岩)

마을에 부엉바위가 있으므로 봉암이라고 부른다. 그 바위에 오래토록 부엉이가 살았다 한다.

선돌 (仙乭)

마을에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이라고 부른다.

지장 (支壯)

마을에 지장풀이 무성했다 해서 지장이라고 부르게 된 마을이다.

선동리 (仙東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신선이 글을 읽는 선인독서형(仙人讀書形)의 지형이라 하여 선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선돌리라하였다. 나주나씨(羅州羅氏)의 집성마을이 있는 지역이다.

고여 (古余)

이씨조선의 개국과 함께 불사이군(不事二君)의 한 고려선비가 이 곳에 산막을 짓고 지조를 지킨 마을로서 옛부터 선비의 마을이라 고여라고 부른다.

버재울 유지(柳枝)

유지리(柳枝里)라고도 부른다. 옛날부터 버드나무가지가 우거졌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한강 (漢崗)

한강리(汗江里)라고도 부른다. 심할 때 위쪽은 물이 흐르지 않아도 땅속에는 물이 흐른다 해서 마음이 깊은 사람이 모여사는 마을이라 그리 부르게 되었다 한다.

선동 (仙東)

지형이 선인이 글을 읽는 선인독서형이라 선동이라고 부른다.

선암리 (仙岩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선동(仙洞)과 생암(生岩)의 이름을 따서 선암리라 하였다.

갈머리

갈마(葛馬)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 해서 갈마 갈머리라고 부른다.

그절매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의 형국이 꼭 게(게)가 엎드린 형국이라 처음에는 그이매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그절매라고 부른다 한다.

생바위

생바위라고도 부른다. 마을앞에 있는 한산이씨의 선산 그 아래에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생바위라고 부른다. 바위는 밤이면 변했다가 아침이면 다시 제자리 모습으로 변하는 형태라는 전설이 있는데 그 생바위 명칭따라 생바위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신틀매

갑오 동학난때 관군에게 몰린 동학도들이 이 곳에 쫓겨와서는 땅이 질어서 신을 벗어들고 피해갔던 곳에 마을이 생기면서 신틀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와룡구지

와룡(臥龍)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곶으로 되어있으며 용이 승천한 마을이라 한다.

신곡리 (新谷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혁 개혁때에 신기(新基)와 지곡(紙谷)의 이름을 따서 신곡리라 하였다.

거리고개

옛날에는 장꾼들이 지나는 거리고개라는 그 고개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고개 지명 따라 거리고개라고 부른다.

바우재

귀여말 구정(九丁)이라고도 부른다. 지형이 거북처럼 생겼다 해서 구정(龜丁)이라고 부르다가 구정(九丁)이라고 부르며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는데 마을에서 위하는 바위임으로 바우재라고도 부른다.

분툿골

마을에서 분토(粉土)가 나옴으로 분툿골이라고 부른다.

은행정

마을에 은행나무가 있었으므로 은행정이라고 부른다.

지곡 (紙谷)

지곡(芝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부근에 당나무도 많았으며 종이를 만드는 곳이 있는 마을이다 지곡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유산말

마을 부근에 버드나무가 우거져 있어서 마을이 신선지처럼 보였다 한다.

신흥리 (新興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풀이 우거져 있으므로 새울 또는 초리(草里)라 하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흥리라 하였다.

돌다리

석교(石橋)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돌다리가 있었으므로 그리 부른다.

새울

초리(草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새초(풀)가 많았으므로 그리 부른다.

용곡리 (龍谷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용구리(龍九里)와 당곡리(堂谷里)의 이름을 따서 용곡리라 하였다. 평해구씨(平海丘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당골

당곡(堂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신당(神堂)이 있었으므로 당골 당곡이라고 부른다.

무능골

일제시대에 몽고풍(蒙古風)의 묘가 있어서 발굴작업을 펼쳤던 마을로 옛날부터 이상한 묘가 있다 해서 무능골이라고 불러왔다 한다.

부용 (芙蓉)

마을지형이 부용꽃 같다 해서 부용이라고 부른다.

알뫼

한떄는 학이 날라들었던 마을로서 마을지형이 둥근 뫼처럼 생겼다 해서 알뫼라고 부른다.

용구지 (龍九地)

용구리(龍九里)라고도 부른다. 용처럼 생긴 못이 있으며 용이 하늘로 승천한 마을이라 용구지 용구리라고 부른다.

초현리 (草峴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천초(千草)와 홍현(紅峴)의 이름을 따서 초현리라 하였다. 평해구씨(平海丘氏)와 안동장씨(安東張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구억뜸

구석진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구억뜸이라고 부른다.

돌고개

석현(石峴)이라고도 부른다. 돌이 많은 돌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돌고 개 석현(石峴)이라고 부른다.

맹매뜸

땅이 기름져서 봉사가 농사를 지어도 수확이 오른다는 전답에 놓인 마을이다. 맹매뜸이라고 부른다 한다.

천방굴

천방동(千房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천방사라는 절이 있었던 마을이라 천방굴 천방동이라고 부른다.

천초 (千草)

뒷굴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큰 마을의 뒤쪽에 있으며 약초와 같은 풀이자라는 마을이라 천초라고 부르고 뒷굴이라고도 부른다.

초막굴

초막(草幕)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초막동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처음 탄생할때에 초막으로부터 시작된 마을이라 초막굴,초막,초막동이라고 부른다.

홍현 (紅峴)

마을 지형이 기러기처럼 생겼다는 마을로 마을부근에서 옛날부터 빨간 흙이 많이 나왔다 해서 홍현이라고 부른다.

태성리 (台城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곳에 있는 태성(台城)의 이름을 따서 태성리라 하였다.

수왕굴

수왕(水旺)이라고도 부른다. 마을과 마을부근에 물이 많으므로 수왕굴 수왕이라고 부른다.

주절 (注切)

옛날에는 물을 구하기가 어려울 때도 주절이라고 불러오던 마을이다. 그후 저수지가 생겨서 물을 풍부하게 쓸수 있게 되어 옛날의 말이 오늘에 꼭 들어맞았다는 주절의 명칭을 높이 사는 마을이다.

냉갱이

옛날 심한 한발에도 냉이가 많아서 어려운 고비를 몇번이고 넘겼다는 마을이라 냉갱이라고 부른다.

풍정리 (豊亭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풍동(豊洞)과 행정(杏亭)의 이름을 따서 풍정리라 하였다.

신굴

풍동(楓洞,豊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신나무가 많았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유산 (柳山)

유산리(柳山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수양버들이 많았을 때 유산 유산리라고 불러오던 마을이다.

행정 (杏亭)

행정리(杏亭里) 으능정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큰 은행나무가 있었으므로 행정 행정리 으능정이라고 부른다.

후암리 (厚岩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후동(厚洞)과 유도암(有道岩)의 이름을 따서 후암리라 하였다.

뒷굴

후동(後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마을 뒤편에 자리 하였으므로 뒷굴 후동이라고 부른다.

유독바위

소의 머리처럼 생긴 바위근처에 마을이 있으므로 유독바위라고 부른다. 또한 유도암(有道岩)이라고도 부른다.

용두정 (龍頭亭)

마을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해서 용두정이라고 부른다.

안텃굴

마을이 그 안쪽으로 자리해 있다 해서 안텃굴이라고 부른다.

담당부서 :
시초면
연락처 :
041-950-6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