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담서천맞춤서비스

다담서천 레이어 닫기

관광

문화관광 이미지
서천,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관광

일상에 지치고 고민으로 머리가 복잡하다면 서천에서 일상의 작은 쉼표를 찍어보세요

홈페이지

사이버서천군민 서천 혜택을 누리다 사이버 서천 인人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혜택을 누리세요

사이버서천군민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다양한 혜택과 나눔을 실천하세요

홈페이지

조류생태전시관 이미지
가까이에서 보고 즐기고 느끼는

조류생태전시관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및 체험교육 학습장 ...

홈페이지 지도보기

한산모시관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의 혼 한산모시

한산모시관

우리전통 천연섬유의 우수성과 역사성,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체험하세요.

홈페이지 지도보기

동백꽃마을 이미지
도시인의 휴식공간

동백꽃마을

갯벌체험, 농촌체험, 농촌문화체험 등 도농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국립생태원 이미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

국립생태원

우리의 생태계를 연구하고, 재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만들어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농사랑 이미지
작지만 큰 기쁨

농사랑

충남 서천의 특산품과 농산물을 한곳에서 만나는서천군쇼핑몰 농사랑

홈페이지

서천특화시장 이미지
바다향기 가득한 정겨운 공간

서천특화시장

싱싱한 수산물을 만날 수 있는 서천특화시장! 청정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로써 수산물 외에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도보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미지
해양생물자원 부국의 초석!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성을 연구하고 해양생물 산업에 대한 기본소재를 확보 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교육

평생학습센터 이미지
봄의마을

평생학습센터

서천군은 학습을 통해 협력하고 성장하는 행복학습도시라는 큰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정보화교육 이미지
교육 함께 나눠요!

정보화교육

지역주민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료 정보화교육 을 연중실시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농업기술센터 이미지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 및 과학영농기술, 농업동향 및 유통마케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후변화교육센터 이미지
미래 환경보존을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과 실천들을 배워나갈 수 있는 기후변화 교육 공간입니다.

홈페이지

서천도서관
지혜와 정보 나눔터

서천도서관

지역주민의 지식 정보욕구를 충족시키 기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천 지역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이며 문화공간 ...

홈페이지

복지

복지포털 이미지
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복지포털

맞춤형복지로 어르신, 여성, 청소년, 장애인, 어린이 등 통합 복지 정보를 안내합니다.

홈페이지

자원봉사센터 이미지
당신의 사랑을 이웃에게 전해주세요!

자원봉사센터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한 ‘가치’를 존중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보건소 이미지
주민과 함께 하는 건강 지킴이

서천군보건소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은 물론 충실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 의료기관입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노인복지관 이미지
노인들이 편안한 공동체를 건설

서천군노인복지관

‘사랑, 행복, 나눔’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이미지
고객의 꿈와 선택이 존중받는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소박한새로운 꿈을 위해 이용자들의 작은 소리와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이는 열린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타

서천군통계 이미지
오늘의 서천

서천군통계

궁굼하지만 쉽게 알 수 없었던 서천의 인구추이, 토지 및 기후 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페이지

공공시설사업소 이미지
깨끗한 변화, 더 좋은 서천

공공시설사업소

서천군민의 주민복지 및 건강증진, 체력 단련 등 군민을 위한 안락하고 쾌적한 복지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재난안전대책본부 이미지
재난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천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으로부터 군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모든 재난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홈페이지

맑은물사업소 이미지
맑고 깨끗한 서천의 생명수

맑은물사업소

서천군 맑은물사업소는 군민을 위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 맑은 하수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sns로 서천의 스토리를 공유해 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조선시대에는 비인현(庇仁縣)의 지역이었으며 조선시대 말기에는 비인읍내의 동쪽이 되므로 동면(東面)에 속했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 곳의 고지명(古地名) 너덜이 즉 나무판자로 다리를 놓았다 해서 널다리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너덜이 판교(板橋)의 이름을 따서 판교면 이라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1930년대만 하여도 광천(廣川) 논산(論山)과 함께 충남의 3대 시장으로 꼽혔으며 특히 우시장(牛市場)이 유명하다.

면내에 거주하는 대성(大姓)은 경주김씨(慶州金氏)가 140여호 평산신씨(平山申氏)가 130여로 충주지씨(忠州池氏) 80여호 홍주이씨(洪州李氏)가 50여호 양근김씨(楊根金氏) 30여호 통천김씨(通川金氏) 25호 광주이씨(廣州李氏) 21호가 뿌리를 내리고 거주하는 성씨이며 그 씨족의 집성마을도 있다.

마대리 (馬垈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 곳에 있는 녹마산(綠馬山)과 비대(飛垈)의 이름을 따서 마대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갈로 (葛老)

가루개라고도 부른다. 고개아래 즉 가루개재 아래에 있는 마을로 칡이 많은 마을이라 갈로 가루개라고 부른다.

난딧굴

난곡(蘭谷)이라고도 부른다.

당마루

마을에 산제당(山祭堂)이 있으므로 당마루라고 부른다.

범울

큰짐승 즉 범이 자주 나타났던 마을이라 범울이라고 부른다. 마을지형이 범을 닮았다고도 한다.

비대 (飛垈)

비대리(飛垈里)라고도 부른다. 매를 비롯하여 많은 날으는 새들이 많이 모여드는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만덕리 (萬德里)

비인군 이방면 (二房面)의 지역으로서 옛날부터 덕을 베푸는 사람이 살았다 하여 만덕(萬德) 또는 만덕이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만덕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충주지씨(忠州池氏)가 많이 살며 그 집성촌도 있다.

선팽이 선풍(仙風)

선풍리라고도 부른다. 옛날부터 선인들이 자주 드나들었으며 선비들이 많이 대를 이으며 사는 마을이라 해서 선풍, 선풍리, 선팽이라고도 부른다.

왜재

와티(瓦티)라고도 부른다. 옛날 이 마을에서 기와를 구웠다 해서 왜재 와티라고 부른다.

자라실

자라리(者羅里) 별곡(鱉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지형이 자라처럼 생겼다 해서 그리 부른다.

문곡리(文谷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문덕(文德)과 신곡(薪谷)의 이름을 따서 문곡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문덕이

문덕(文德) 문덕리(文德里)라고도 부른다. 문수산 아래에 있는 마을로서 덕을 쌓는 사람이 그 산아래에 산다 해서 문덕이 문덕 문덕리라고 부른다.

섭실

신곡(薪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과 마을부근에 섭이 많이 있다 해서 섭실 신곡이라고 부른다.

수랑굴

주항(酒缸)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수렁(수랑)이 많이 있다 해서 수랑굴 또는 주항이라고 부른다.

장재울

장좌(長佐)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장자가 살았다 해서 장재울 장좌라고 부른다.

와매

기와를 굽던 마을이라 와매라고 부른다.

복대리 (卜大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복대(卜大)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복대리(卜大里)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가실(柯室)

가곡(柯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가래나무가 많으므로 가실 가곡이라고 부른다.

부소티(扶蘇티)

부소산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부소티라고 부른다

분돌 (分洞)

마을이 분지에 놓여 있으므로 분동이라고 부른다.

유춧골

옛날부터 마음에 여유있는 사람이 모여사는 마을이라 유춧골이라고 불러온다. 옹기점도 있는 마을이다.

상좌리 (上佐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상산(上山)과 가좌(可佐)의 이름을 따서 상좌리라 하였다.

가자울

마을 지형이 가재처럼 생겼다 해서 가자울 가좌(可佐)라고 부른다.

광촌 (光村)

음지가 별로 없는 마을로서 빛이 솟는 마을이라 해서 광촌이라고 부른다.

노적봉 (露積峯)

가자울 서쪽에 있는 노적봉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산이름을 따서 노적봉이라고 부른다.

누릉굴

황곡(黃谷)이라고도 부른다. 흙의 빛깔이 황색인 지역에 마을이 있다 해서 누릉굴 또는 황곡이라고도 부른다.

능마궁 (陵馬宮)

능마궁지라고도 부른다. 명당자리로 지목되는 명당이 있는 마을로 왕족이 묻힐 곳이 있다 해서 능마궁이라고도 부른다.

묵티 (墨티)

먹재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나무가 우거져서 어둠 침침한 고개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묵티 먹재라고 부른다.

뱃굴

주동(舟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의 지형이 배와 같다 해서 뱃굴 주동이라고 부른다.

온동 (溫洞)

냉정(冷井)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샘이 있는데 여름에는 여름같고 겨울에는 물이 덥다는 샘이 있으므로 온동 또는 냉정이라고 부른다.

한티

삼흘(三屹)이라고도 부른다. 세 봉우리가 있는 마을이다.

수성리 (水城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방망이처럼 생겼으므로 솔맹이 소을망리 또는 설명 설맹이 변하여 송수침 또는 송암이라 부르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수성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골말

마을이 골짜기에 있으므로 골말이라고 부른다.

탑거리

마을에 탑이 있었으므로 탑거리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심동리 (深洞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장대봉 아래의 깊은 골짜기가 되므로 깊은골 또는 심동(深洞)이라 하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심동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월봉 (月峯)

마을 지형이 달처럼 생겼다 해서 월봉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달맞이를 즐기는 마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깊은골

깊은 골짜기 아래 마을이 있으므로 깊은골 심동(深洞)이라고 부른다.

우라리(右羅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와우형의 명당이 있는 곳이라 하여 우라실 우리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우라리라 하여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경주김씨(慶州金氏)가 오래 동안 뿌리를 내린 고장이며 그 집성마을도 있다.

차득배기

마을에 차돌이 박혀있으므로 차돌배기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차득배기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참샛골

냉정(冷井)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찬샘이 있으므로 찬샘골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참샛골이라고 부른다.

가추개

가치고개 작티리(鵲티里)라고도 부른다. 까치가 많이 서식하는 까치고개 작티리라고 불렀으며 변하여 가치고개라고도 부른다.

우리실

마을과 그 지역에 와우형의 명당이 있다는 마을이다.

저산리 (苧山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저동(苧洞)과 산동(山洞)의 이름을 따서 저산리라 하였다. 평산신씨(平山申氏)가 오래도록 뿌리를 내린 지역으로 그 집성마을도 있다.

강당 (講堂)

글을 읽고 깨우치는 강당이 있었으므로 강당이라고 부른다.

모시울

저동(苧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서 저마도 많이 생산하였으며 모시도 많이 직조하는 마을이라 옛날부터 모시울 저동이라고 부른다.

산동 (山洞)

산악지대에 마을이 있으므로 산동이라고 부른다.

점말

마을에 사기점이 있었던 마을이다.

짐사굴

마을이 골짜기에 있으므로 짐사굴이라고 부른다.

큰골

큰골짜기에 자리한 마을이라 해서 큰골이라고 부른다

판교리 (板橋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너다리가 있으므로 너다리 널다리 또는 판교(板橋)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판교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감동 (甘洞)

감랑굴이라고도 부른다. 옛날 한 도승이 말한 대로 단 음식을 경작하면 마을이 번창한다 해서 감 감자 강낭콩 같은 종류의 생산으로 마을이 흥해졌다 해서 강동 강랑굴이라고 부른다 한다. 고려때 이 곳의 감은 진상품이었다 한다.

고랙굴

고락(古樂)이라고도 부른다. 이 부근에서는 가장 오래된 마을로 한 선비가 전원에 묻혀 명성있게 살은 마을이라 고락이라 부른다 한다. 일설에는 고락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설도 있다.

온동 (溫洞)

더운 물이 나오는 샘이 있으므로 온동 온수굴 원숫골 온수동(溫水洞)온동이라고 부른다.

궁곡(宮谷)

궁굴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지형이 궁궐같다 해서 궁곡 궁국이라고 부른다.

놋점이

녹점 유점이라고도 부른다. 놋점이 있었던 마을이다.

대섶말

대나무숲이 있는 마을이라 대섶말이라고 부른다.

서당굴

서당이 있었던 마을이라 서당굴이라고 부른다.

절굴

옛날에 절이 있었던 마을이다.

현암리 (玄岩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검고 큰 바위가 마을 중간에 있었으므로 검은바위 검은배 또는 현암(玄岩)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현암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도래 (都來)

옛날에는 타향에서 이 곳에 들어와서 정착하는 사람들이 많은마을이라 도래라고 불렀다 한다.

구풋굴

옛날에는 옴팡진 땅이 많았으나 그 곳을 정리하고 마을이 생겼다고 하여 구풋골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구풋골이라고 부른다.

돌장굴

마을에 돌이 많았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등대

옛날에는 집이 많이 들어섰던 마을로 밤이 되면 이 지역을 밝히듯 등불이 찬란하였다 하는데 꼭 판교의 등대같았던 마을이라 한다.

분뭇골

부처가 있었던 마을이다.

질마제

마을 뒷산이 꼭 길마처럼 생겼다 해서 질마제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후동리 (後洞里)

비인군 동면(東面)의 지역으로서 뒷골 또는 후동(後洞)이라 하였던 곳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후동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충주지씨(忠州池氏)가 많이 살며 그 집성마을도 있다.

갓골

각동(角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가에 새로 마을이 생겼으므로 갓골 각동이라고 부른다.

방선 (訪仙)

방선(方仙)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처음 생길 때부터 신성한 백성들만 모여서 마을이 이룩되었으며 그 후에도 선지로 이름난 마을이라 방선이라고 부른다 한다.

후동 (後洞)

뒷골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뒷쪽에 마을이 자리해 있으므로 후동 뒷골이라고 부른다. 임진왜란때는 피난처로 유명했었다 한다.

흥림리 (興林里)

비인군 이방면(二方面)의 지역으로서 숲이 차츰 우거져감으로 흥림(興林)이라고 불렀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서천군 종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에 판교면에 편입되었다.

궁곡(宮谷)

궁굴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지형이 궁궐같다 해서 궁곡 궁국이라고 부른다.

사당굴

옛날에 사당이 있었으므로 사당굴이라고 부른다.

두지실(斗只實)

뒤실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뒤쪽에 자리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띠울

모곡(茅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띠로 둘러있다 해서 띠울 모곡이라고 부른다.

새야

산과 들사이에 아담한 들을 끼고 마을이 자리해 있다 해서 새야라고 부른다.

등고리 (登古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높고 험한 고개가 있으므로 등고개 또는 등고(登古)라 불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등고리라 하여 문산면에 편입되었다가 뒤에 판교면에 편입되었다.

소현골

윗말이라고도 부른다. 등고개 위쪽 작은 산줄기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등고개

등고(登古)라고도 부른다. 험한 고개아래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금덕리 (金德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금단(今丹)과 만덕(萬德)의 이름을 따서 금덕리라고 하였다. 안동권씨(安東權氏) 50여호의 집성마을이 있다.

만덕 (萬德)

마을에 망덕사(望德寺)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이에 연유하여 만덕이라고 부른다.

산막골

산막곡이라고도 부른다. 사방으로 산으로 둘러쌓인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산막골 산막곡이라고 부른다.

원닷골

원다곡(元多谷)이라고도 부른다. 골짜기 안쪽으로 마을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금단 (金丹)

금단리(金丹里)라고도 부른다. 또한 변해서 검단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에 권좌에 올랐던 안동권씨가 사방에 씨족의 권세를 위하여 금단의 서약을 많이 하였었다. 명문으로서 자리를 지키는 인물들이 사는 마을이라 금단이라 부르고 변하여 검단이라고도 부른다

담당부서 :
판교면
연락처 :
041-950-6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