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시풀재배
모시풀수확
태모시 만들기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날기
바디 끼우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풀은숙근성 초본 다년생 작물로 한번 심으면 10년 정도 수확 할 수 있다. 재식 밀도는 토양조건에 따라 다르며, 재식한 첫해의 생육상태 즉, 모시풀의 굵기와 길이에 따라 최후까지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재배시의 시비관리 등이 중요하다. 서천군에서 재배하는 저마는 재래종과 백피종이 있는데 백피종이 주로 재배된다. 재래종은 가늘게 쪼개지고 윤이나며 질기나 길이가 1.24m이하로 짧고 수량이 적게 나오며, 백피종은 보통1.55m로 길이가 길고 수량이 많이 나온다. 이는 모시째기시 양팔을 벌린 간격이 1.5m로 더 길거나 짧으면 비능률적이기 때문이다.
모시풀수확은 심은 당년에는 2회 2년째 부터는 3회 수확을 할 수 있으며 가장 적당한 수확기는 대략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 8월 하순에 이수, 10월 상 하순에 삼수로 연간 세차례 수확한다.
태모시 만들기는 종근을 심어 저마를 재배하고 다 자란 모시풀을 베어 모시풀 바깥층을 벗겨내고 속껍질로 태모시를 만든다. 모시풀의 속껍질을 햇볏에 말리고 물에 적시기를 네다섯번 번갈아 하면 모시의 최초 섬유질을 추출하는 과정인 태모시가 생산 된다.
태모시를 이로 쪼개서 모시섬유의 굵기를 일정하게 하는 과정으로 상저, 중저, 막저로 구분되는 모시의 품질이 나온다. 태모시의 품질과 모시째기의 숙련 정도에 따라 모시의 품질이 좌우된다.
모시째기를끝마친 다음 모시섬유 한뭉치를 “쩐지”라는 버팀목에 걸어놓고 한올씩 빼어 양쪽 끝을 무릅에 맞이어 손바닥으로 비벼 연결시켜 광주리에 차곡차곡 쌓아놓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거침으로서 모시굿이 완성된다.
10개의 모시굿에서“젖을대”의 구멍으로 실끝을 통과시켜 한묶음으로 한 후 날틀에 걸어 한필의 길이에 맞추어서 날실의 길이로 날고 새수에 맞추어 날실의 올수를 맞춘다.
바디는 대나무의 껍질로 만드는데, 3·4년이 지난 대나무라야 껍질이 단단하고 두터워 재료로서 적합하다. 제작과정을 보면 바디살 만드는 과정, 기둥살(일명 날대) 만드는 과정, 마구리를 끼우는 과정, 그리고 갓 붙이는 과정 등으로 구분된다. 바디의 종류는 모시베, 명주베, 무명베, 삼베 등 짜는 옷감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같은 모시베를 짜는 바디라 할지라도 베의 바탕 올이 가늘고 굵기에 따라 9새에서부터 18새까지 모두 다르다. 모시의 새수는 바디끼기에 의해 결정된다. 바디끼우기는 날실이 일정한 새와 폭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며 이 작업과 병행하는 것이 꾸리감기이다. 꾸리감기는 씨줄을 만드는 과정으로 모시짜기를 할 때 씨실 꾸리를 북에 담아 사용한다.
모시매기의 “매다”는 “다했다”는 완성의 의미가 있다. 이 과정만 거치면 모시짜기를 위한 준비과정을 모두 마치게 되는데, 무더운 여름에 불앞에서 작업해야 하는 고역을 견디는 힘든 작업이기도 하다. 모시매기는 바디에 끼워진 모시를 한쪽은 도투마리에 매고 다른 끝은 “끌게(도투마리를 감으면 끌려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에 매달아 고정시킨 후 콩가루와 소금을 물에 풀어 만든 풋닛가루를 뱃솔에 묻혀 날실에 골고루 먹인다. 그리고 이음새를 매끄럽게 하고 왕겻불로 말리면서 도투마리에 감는 과정이다.
모시새수 정하기, 모시날기, 바디끼우기 등을 거쳐 베틀에 올린 후 모시짜기가 시작되는데, 실내가 건조하면 실이 말라 바스러지는 등 많은 습기를 요하기 때문에 습도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대부분 반지하의 움막에서 모시를 짜는 원시적인 방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채광이 불량하고 온도 조절이 어려워 여름철에는 대부분이 고통스럽게 작업을 하며, 베틀에 않아 전신을 움직이며 하는 힘이 많이 드는 노동으로 지금까지 개선 된 것이 가습기를 틀어 놓고 작업하는 형태이다. 또 이 작업은 상당히 속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숙련도에 따라 모시짜는 기간이 달라진다. 보통의 경우 3일에 1필정도를 짜는 것이 일반적이다.